2025년 하얏트 호텔 카테고리 조정, 주요 변화와 예약 전략
하얏트 호텔의 로열티 프로그램인 ‘월드 오브 하얏트(World of Hyatt)’는 매년 호텔 등급 조정을 통해 포인트 사용 기준을 갱신하고 있다. 2025년 변경안도 예외는 아니다. 3월 25일부터 적용될 이번 조정에서는 총 151개 호텔의 카테고리가 변경되며, 이 중 118곳은 상향 조정되고, 33곳은 하향 조정된다. 전체적으로 숙박 포인트 가치가 하락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실질적인 ‘마일리지 디밸류에이션’ 효과가 있다.
이번 변경의 핵심은 포인트로 무료 숙박을 이용할 수 있는 기준이 강화되었다는 데 있다. 이제는 일부 인기 호텔에서 예전보다 훨씬 많은 포인트가 필요하며, 특히 도쿄, 발리, 하와이와 같이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 이러한 변화가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인기 지역 호텔의 포인트 요구량 증가
이번 조정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주요 여행지의 고급 호텔들이 고카테고리로 이동했다는 사실이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도쿄의 안다즈(Andaz Tokyo Toranomon Hills), 파크 하얏트(Park Hyatt Tokyo), 그랜드 하얏트(Grand Hyatt Tokyo) 모두 기존 7등급에서 최상위인 8등급으로 상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오프피크 시 숙박 시에도 최소 35,000포인트, 성수기에는 최대 45,000포인트가 필요하게 된다.
발리의 안다즈(Andaz Bali), 알릴라 스미냑(Alila Seminyak) 역시 각각 5등급에서 6등급으로 올라가면서 포인트 사용의 부담이 커졌다. 하와이 카우아이섬에 위치한 그랜드 하얏트도 이제는 8등급 기준으로 운영된다.
인기 포인트 숙박 활용지역의 혜택 감소
2025년 변경으로 인해 기존에 무료 숙박 인증서(카테고리 14 또는 17 한정)를 쓸 수 있었던 호텔들도 상당수가 상향 조정되면서, 사용자 혜택이 줄어들게 됐다. 도쿄 Hyatt Regency와 Hyatt House Shibuya는 카테고리 5로 상승하며, 더 이상 숙박 인증서로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Hyatt Regency Vancouver, Hyatt Regency Paris Etoile, Hyatt Regency Koh Samui 역시 카테고리 5로 이동하면서 동일한 상황이 발생했다. 이는 자유 여행객이나 하얏트 회원들이 주로 이용하던 중간급 호텔에서의 혜택 축소 의미를 내포한다.
일부 지역의 등급 하향으로 기회도 존재
반면, 일부 호텔은 하향 조정을 통해 포인트 활용도가 향상되었다. Hyatt Regency Maui, Thompson Hollywood, Park Hyatt Doha 등 주요 도시 내 호텔 다수가 소폭 하향 조정되었다. 중국과 중동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다수의 호텔이 등급을 낮췄으며, 이는 현지 수요 감소와 호텔 자체의 지속적인 숙박률 하락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 중에서도 Grand Hyatt Amman(요르단), Grand Hyatt Muscat(오만)은 각각 2~1등급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포인트로 숙박이 가능해진 사례다. 이는 중동 지역이나 중국 여행을 계획 중이라면 새로운 포인트 목적지로 주목할 만하다.
하얏트 카테고리 제도의 작동 방식
하얏트의 호텔 등급은 단순히 호텔의 등급이나 시설 수준만을 반영하지 않는다. 각 호텔의 평균 숙박료와 객실 점유율이 주요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객실 여유가 많은 호텔은 더 낮은 보상율로 운영되며, 성수기나 객실이 대부분 예약된 시점에는 하얏트 본사에서 호텔 측에 평균 숙박 요금을 기준으로 환급하게 된다. 때문에 호텔 상품의 명성보다 수요와 매출 구조가 카테고리 변화의 가장 큰 원인이다.
최근 여행 수요의 회복, 고급 리조트나 도심 호텔의 요금 상승은 전체 카테고리 조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휴양지 중심의 고급 브랜드 숙박지에서는 포인트 가치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예약 전략, 지금 필요한 행동 요약
3월 25일 이전에 예약을 완료하면 기존 포인트 기준으로 숙박이 가능하다. 잠재적 가격 상승 호텔을 방문할 예정이라면 변경 전에 미리 예약을 완료하는 것이 현명하다. 반대로 호텔이 하향 조정되는 경우엔 자동으로 초과 포인트가 반환된다. 단, 예약 날짜를 변경하게 되는 경우, 적용 시점 이후에는 새로운 카테고리 기준이 적용된다.
따라서 기존 예약을 유지하되, 가능하면 취소 및 재예약 없이 일정만 조정하는 것이 포인트 절약에 유리하다. 특히 연간 숙박 인증서로 이용 가능했던 호텔이 상향 조정될 경우, 기존 인증서로 마지막 기회를 노려볼 수 있는 기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
하얏트 호텔의 포인트 숙박 가치가 조정된 배경
월드 오브 하얏트의 연간 호텔 카테고리 조정은 실질적으로는 로열티 프로그램의 구조적 조율이다. 명시된 등급 기준이 유지되는 점은 메리어트, 힐튼 등의 다이나믹 요금제보다 통제성이 있다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지속적인 포인트 가치 하락은 포인트 사용자 입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직접적인 디밸류에이션이다.
이는 단순한 혜택 축소뿐 아니라 향후 카드 연계 혜택, 엘리트 멤버십 전략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하얏트 회원은 지속적으로 카테고리 정책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단기 예약 전략을 필요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얏트 포인트 숙박 전략 업데이트 필요
2025년 하얏트 호텔 카테고리 조정은 포인트 사용자들에게 현실적인 제약을 가중시키는 변화다. 특히 일본, 동남아, 하와이 등 인기 지역의 고급 호텔들이 대거 상향되며, 동일 포인트로 이용 가능했던 접근성 좋은 호텔들이 줄어든 점이 특징이다. 반대로 일부 중국, 중동 지역의 호텔 하향 조정은 새로운 포인트 활용처로 주목할 수 있다. 사전 예약, 호텔 등급 변화 확인, 인증서 소진 전략 등을 다시 점검하는 것이 이번 변화에 대응하는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