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야드에어 A350-1000 도입, 글로벌 항공 확장 신호

리야드에어가 에어버스 A350-1000을 도입하며 글로벌 장거리 전략을 본격화하고 사우디 항공 허브 구축의 핵심 역할을 강화한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 중인 ‘비전 2030’ 전략의 일환으로 설립된 신생 항공사 리야드에어가 플래그십 항공기로 에어버스 A350-1000을 공식 선택했다. 이 결정은 단순한 항공기 도입을 넘어, 사우디의 항공 인프라 현대화 및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을 본격화하는 상징적 행보로 평가된다.


에어버스 A350-1000으로 장거리 전략 구체화

리야드에어는 프랑스 파리 에어쇼에서 에어버스 A350-1000 항공기 25대를 확정 주문하고, 추가 25대의 옵션 계약을 체결했다. 총 50대 규모의 이 기체는 향후 리야드에어의 장거리 주요 노선 운항을 담당할 전략적 자산이다. A350-1000은 최대 16,100km의 항속거리와 350~410명 수용 능력을 갖춘 광동체 항공기로, 연료 효율성과 안정성 면에서 이미 국제 항공 시장에서 검증된 기종이다.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노선에서 폭넓게 활용되는 A350-1000은 운항 효율성과 승객 편의성 모두를 만족시키는 모델로, 향후 뉴욕, 런던, 도쿄 등 주요 거점 도시 운항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잉 777X 대신 A350 선택한 배경

리야드에어는 당초 보잉 777X와 A350-1000 중 하나를 선택지로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 A350을 선택했다. 보잉 777X는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고, 개발 지연과 인증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아 일정에 불확실성이 컸다. 반면, 이미 시장에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A350-1000은 신뢰성과 실용성 측면에서 우위를 점했다.

에어버스의 공급망 안정성도 중요한 결정 요인이었다.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계획된 일정에 따라 항공기를 도입하는 것은 신생 항공사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다. 리야드에어는 이에 따라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조기 시장 진입을 위한 전략을 택한 셈이다.


고급 서비스 전략에 A350 적극 활용

리야드에어는 기존 보잉 787-9 기종을 통해 비즈니스 및 이코노미 중심의 운항 구조를 갖춰왔다. 반면, A350-1000 기종에서는 퍼스트 클래스 좌석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는 중동 지역의 경쟁 항공사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하이엔드 고객층 확보를 목표로 한다.

특히 A350 기종은 기내 설계 유연성이 뛰어나, 좌석 구성 및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 리야드에어만의 브랜드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향후 퍼스트 클래스 도입과 맞춤형 기내 환경을 통해 ME3(Middle East Three: 에미레이트항공, 카타르항공, 에티하드항공)과 경쟁할 프리미엄 항공사로의 입지를 다질 수 있다.


사우디 항공산업 변화의 중심에 선 리야드에어

리야드에어는 단순한 민간 항공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사우디 정부는 ‘비전 2030’ 전략 아래 항공산업을 관광·물류 중심 경제구조의 핵심 인프라로 육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킹살만국제공항의 확장, 기존 사우디항공과의 역할 분담, 신규 항공기 대량 도입 등이 추진되고 있다.

2025년 첫 취항을 목표로 하는 리야드에어는 사우디의 항공 허브 구축 전략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한다. 연간 1억 명의 방문객 유치를 목표로 한 인바운드 확대 전략에 발맞춰, 글로벌 거점 도시와의 직항 노선을 확대하고, 안정적인 스케줄 운영을 위한 항공기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글로벌 항공시장 진출의 실질적 기반 마련

에어버스 A350-1000 도입은 리야드에어의 장기 전략에서 실질적인 분기점이다. 향후 주요 국제노선에 투입될 이 기체는 단지 플래그십 기종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리야드에어가 글로벌 항공사들과 경쟁 가능한 운영 역량과 서비스 체계를 본격적으로 갖추고 있다는 신호이며, 나아가 사우디 국가 브랜드 제고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에어버스와의 계약은 향후 추가 도입 여지를 열어두는 옵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글로벌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 셈이다.


플래그십 항공기로 글로벌 전략 구체화

리야드에어는 에어버스 A350-1000을 주력 항공기로 선택하면서 장거리 노선 확장, 프리미엄 서비스 강화, 항공 운영 안정성 확보라는 3대 축을 동시에 추진하게 되었다. 이 전략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항공산업 현대화와 비전 2030 실행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